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Fix typo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marshallku committed May 18, 2024
1 parent 9944d33 commit 57efb38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6 changed files with 19 additions and 18 deletions.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apps/blog/_posts/dev/220326-smooth-zoom-제작일지.mdx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8,7 +28,7 @@ rollup을 쓰는 지금은 TypeScript를 쓰지 말아야 할 이유가 하나

![Smooth Zoom 워크플로우](/images/2022/03/smooth-zoom-workflows.png)

새 버전을 배포할 때마다 Github Actions로 자동으로 배포하도록 해뒀습니다.
새 버전을 배포할 때마다 GitHub Actions로 자동으로 배포하도록 해뒀습니다.
번들러만 있으면 [20줄 내외의 yml 파일](https://github.com/marshallku/smooth-zoom/blob/master/.github/workflows/npm-publish.yml)로 할 수 있는 작업인데, 수동으로 하느라 많이 답답했습니다.

## 옵션 업데이트
Expand Down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apps/blog/_posts/dev/cdn-server-with-rust.mdx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556,9 +556,9 @@ RUN set -eux; \
이 작업만 십여 분의 시간이 걸리더니, 의존하는 패키지들을 수십 분이 지나도 빌드가 안 끝납니다.
결국 한숨 자고 와서 다시 확인해봤는데도...여전히 수십 개의 패키지를 빌드해야 끝나는 상황이더라고요.

결국 Github Actions를 사용해 GitHub Container Registry에 이미지를 올려두는 방식으로 변경했습니다.
결국 GitHub Actions를 사용해 GitHub Container Registry에 이미지를 올려두는 방식으로 변경했습니다.

![Github Actions로 3분 56초만에 빌드된 이미지](/images/2024/02/push-image-github-actions.png)
![GitHub Actions로 3분 56초만에 빌드된 이미지](/images/2024/02/push-image-github-actions.png)

나름대로 합리적인 시간에 빌드를 끝냅니다.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11 +1,11 @@
---
title: Github Actions로 tag, release 생성하기
title: GitHub Actions로 tag, release 생성하기
description: 개인적인 용도로 만든 npm package들도 있고, 알바몬에 사용할 npm package들에 기능 등의 추가가 필요하거나 문제가 있으면 업무 외 시간에 업데이트하곤 합니다. 어느새 그 가짓수만 해도 꽤 늘었습니다.이 패키지들 관리하며 npm 배포 자동화를 위해 한 삽질을 좀 공유할까 합니다.
date:
posted: 2023-06-19T02:23:00.000Z
modified: 2023-11-19T07:55:00.000Z
modified: 2024-05-18T03:19:54.217Z
tags:
- Github Actions
- GitHub Actions
- Shell Script
- CD
coverImage: /images/2024/01/github-tag.png
Expand Down Expand Up @@ -228,7 +228,7 @@ check-commit에서 추출한 버전명을 제목, create-tag에서 생성된 bod
### trigger-deploy

create-release job이 완료만 되면 실행됩니다.
Github actions가 release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pipeline이 수행되지 않기에(무한 루프 등 방지 위해 의도된 기능), deploy workflow를 trigger해줘야 합니다.
GitHub actions가 release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pipeline이 수행되지 않기에(무한 루프 등 방지 위해 의도된 기능), deploy workflow를 trigger해줘야 합니다.

## Publish 파이프라인 수정

Expand Down Expand Up @@ -267,8 +267,8 @@ workflow\_dispatch, repository\_dispatch에도 trigger 되도록 수정하면

## 마무리

![Github Actions 실행 결과](/images/2023/06/Actions-Result.png)
![GitHub Actions 실행 결과](/images/2023/06/Actions-Result.png)

![Github release 결과](/images/2023/06/Github-release-card.png)
![GitHub release 결과](/images/2023/06/Github-release-card.png)

버전 업데이터로 버전을 업데이트하면 변경된 내용이 요약된 release가 생성되고, npm에 자동으로 배포까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3,10 +3,10 @@ title: Pull Request를 병합하기 전에 코드 검사하기
description: 원활한 협업을 위해 ESLint나 Prettier 등의 도구를 활용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를 로컬에서만 실행되게 하면 "설치하지 않는다", "무시한다" 등의 옵션이 존재하기도 하고,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았으나 설치가 된 줄 알고 작업하는 불상사가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테스트 케이스 수준에서 걸러지는 오류를 처리하는 등 자동화할 수 있는 작업들을 Pull Request 시에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date:
posted: 2022-05-06T08:59:00.000Z
modified: 2023-11-19T07:55:00.000Z
modified: 2024-05-18T03:19:54.217Z
tags:
- ESLint
- Github Actions
- GitHub Actions
coverImage: /images/2024/01/qc-pass-fail.png
ogImage: /images/2024/01/qc-pass-fail.png
---
Expand Down
7 changes: 4 additions & 3 deletions apps/blog/_posts/dev/reuse-github-actions.mdx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15 +1,16 @@
---
title: 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 재사용하기
title: 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 재사용하기
description: Composite Action과 Reusable Workflow를 통해 인생 좀 더 편하게 살기
date:
posted: 2024-02-18T09:41:19.729Z
modified: 2024-05-18T03:19:54.217Z
tags:
- Github Actions
- GitHub Actions
coverImage: /images/2024/02/reuse-workflow.png
ogImage: /images/2024/02/reuse-workflow.png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Github Actions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비슷한 형태의 workflow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GitHub Actions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비슷한 형태의 workflow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Node.js 버전이 변경되거나, 더 나은 방법을 찾았을 때 등 상황에 repository를 돌아다니며 workflow를 수정하는 건 상당히 귀찮은 일입니다.

이때 재사용할 수 있는 workflow를 만들어 한 군데서 workflow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3,7 +3,7 @@ title: 블로그 각종 장애 처리 일지
description: 알바몬 때문에 많이 바쁜 나날을 보내느라 반년 이상 블로그 글이 정전이었습니다.코드는 꾸준히 수정하고 있었는데, 글까지 쓸 짬을 도무지 못 내겠더라고요. 코드 수정 사항들도 많긴 하지만…쌓인 기간이 기간이니만큼 사소한 장애 상황들에 관한 얘기로 좀 채워볼까 합니다. 시작하기 전 짧은 사족으로, 무려 이게 올해 첫 글입니다. 접근 불가능 문제 상황 워드프레스 자동 업데이트가 다소 불안정하여, 자동 업데이트가
date:
posted: 2023-05-18T22:52:00.000Z
modified: 2023-11-19T07:30:00.000Z
modified: 2024-05-18T03:19:54.217Z
tags:
- 제작일지
coverImage: /images/2024/01/disasters.png
Expand Down Expand Up @@ -33,8 +33,8 @@ ogImage: /images/2024/01/disasters.png

**2\. 관련 알림 Discord로 발송하도록 변경**

블로그에 최신 글을 작성하면 Github README에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1시간마다 github actions에 cronjob이 돌고 있습니다.
그래서 블로그 접근이 불가능해지면 bash script에 오류가 발생해 github actions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았다고 카카오톡 알림이 오는데, 업무 중에는 카카오톡은 잘 안 보다 보니 정오부터 알림이 오고 있었는데 자정에 집에 오며 확인하는 등의 상황이 반복되었습니다.
블로그에 최신 글을 작성하면 GitHub README에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1시간마다 GitHub actions에 cronjob이 돌고 있습니다.
그래서 블로그 접근이 불가능해지면 bash script에 오류가 발생해 GitHub actions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았다고 카카오톡 알림이 오는데, 업무 중에는 카카오톡은 잘 안 보다 보니 정오부터 알림이 오고 있었는데 자정에 집에 오며 확인하는 등의 상황이 반복되었습니다.

![디스코드 Webhook 알림](/images/2023/05/Screenshot-2023-05-18-at-12.30.06-PM.png)

Expand All @@ -43,7 +43,7 @@ ogImage: /images/2024/01/disasters.png

**3\. 모니터링**

먼저, github actions에 돌고 있던 cronjob에도 실패했을 때 Discord 알림을 보내도록 작업했습니다.
먼저, GitHub actions에 돌고 있던 cronjob에도 실패했을 때 Discord 알림을 보내도록 작업했습니다.
별다른 공수 없이 10 \~ 20분이면 끝나는 작업이라 제일 먼저 진행했고, 데이터를 제대로 못 불러왔을 때 README를 이상하게 업데이트하던 소소한 오류도 손봐뒀습니다.

---
Expand Down

0 comments on commit 57efb38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