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67 lines (40 loc) · 4.7 KB

README.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67 lines (40 loc) · 4.7 KB

1. 스터디 결정 사항 안내

의논 사항 결정내용
스터디 목표 스프링은 단기간에 완성할 수 없다고 판단
- 필수 이론을 제외한 이론보단 실습의 비중을 높인 스터디 진행 + 토이프로젝트

기대효과
- 추후, 개인적으로 복습을 할 때 깊은 이해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짐
스터디 방식 온라인 진행
스터디 장소 온라인 진행
- 추후 오프라인 진행도 열려있는 상태
스터디 시간 일요일 오전 11시 ~ 13시
- 2시간씩 진행예정
스터디 진행방식 아래 표 참고
스터디 규칙 발표자료 3번 공유를 하지 않는다면 3진 아웃제
- 결정 이유 ::스터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여 결정

결석 관련
- 스터디원을 믿는 것을 전제
- 경조사, 가족행사 등 스터디에 빠질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음
- 단, 스터디 자료는 공용 git에 올려야하며 올리지 않을 경우 3진 아웃제의 카운트에 해당

- 결석이 예상되는 경우 미리 스터디원에게 알려주기
(해당 주발표 관련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
스터디 활용 툴 1. git
- 공용 레퍼지토리를 활용한 공부내용 공유

2. 슬랙
- 소통, 공지, 질문 답변

3. 트렐로
- 토이프로젝트 진행시 추후에 다시 얘기 나눌 예정
기타 (대학생 고려) 시험기간 동안 스터디 방식
- 해당 상황에 얘기를 나눠 결정



[1] 스터디 진행 방식

스터디 진행 방식 결정내용
한 주 공부량 한 주에 한 챕터를 목표로 하지만 유동이 생길 수 있으며 생길 수 있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한 주에 한 챕터를 소화하기 힘들것이라 판단될 경우
-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한 경우
- 깊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판단 될 경우
발표 방식 한 챕터의 소챕터를 담당 및 모르겠는 내용, 기억하고 싶은 코드, 추가 공부내용을 정리하여 발표
- 소챕터가 스터디 인원보다 적을 경우 : 아래 참고
- 소챕터가 스터디 인원보다 많을 경우 : 아래 참고
스터디 마무리 방식 해당 주 스터디를 하며 중요 키워드, 해결되지 않은 문제에 대한 고민 및 해결 (모임에서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 다음주 스터디 내용에 포함하며 알게 된 사실 발표), 차주 토이프로젝트 관련 의견 논의, 토이프로젝트 결정에 따른 차주 학습 방향 설정
스터디 자료 공유 방식 공용 git 활용

※ 소챕터 > 스터디인원

  • 사다리로 소챕터 발표자 선정
    • 사다리로 소챕터 분량을 분배하여 결정한다.
    • 따라서, 발표를 많이 준비해야하는 인원이 생긴다. 분량은 조절하여 사다리로 올릴 예정



※ 소챕터 < 스터디인원

  • 사다리로 소챕터 발표자 선정
    • 소챕터 미발표자는 자율적 방식으로 발표를 준비하지만, 아래 요소를 고려하여 발표 구성을 하길 권장
      • 단원에서 강조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 어떤 지식을 요구하는지
      •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은 무엇인지
      • 모르겠는 내용, 기억하고 싶은 코드
      • 새로 알게된 사실 (사소하게 Java String 사용법을 몰랐다면 String 사용법을 소개하고 알려주는 방식)



[2] 첫 스터디 시작일과 관련한 내용 정리

시작일 5월 8일 일요일 15시
스터디 장소 온라인
스터디 분량 스프링인액션 1장
스터디 발표 방식 사다리 타기로 소챕터별 발표 인원 선정